|
|
 |
Home > 직업별 학교찾기 > 건설·전기전자·기계분야 |

건축사,설비사 |
공조,소방설비사 |
토목기술자,시공관리기사 |
측량사,설계기술자 |
조원시공관리기사 |
CAD OP,트레이서 |
전기,전자,통신기술자 |
음향디자이너,엔지니어 |
기계설계,개발기술자 |
자동차정비사 |
항공정비사 |
자가항공조종사 |
용접,비파괴검사기술자,철강기술자 |
공해,환경관리기술자 |
안경기술자 |
쥬얼리디자이너 |
건축사, 설비사 |
▲ TOP |
건축학과 - 아오야마공학 의료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교재에 실시도면을 많이 도입하여 실무에 즉시 적응할 수 있는 수업을 전개한다. |
건축설계 디자인과 - 아오야마공학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설계와 인테리어, 복지주거환경의 3코스 각각에서 건축의 구조나 기능, 편리성을 학습한다. |
건축복지학과 - 삿포로과학기술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2급 건축사 합격을 목표로 하고, CAD도 사용한 수업을 실천한다. 복지시대를 위한 주거공간의 모습을 학습한다. 2·3급 복지주거환경 코디네이터, 가정 도우미 자격도 목표로 한다. |
건축공학과 - 삿포로의료리하비리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구조역학이나 설계제도, 건축재료, 건축설비, 주거학, 건축법규가 있고, 건축의 전반에 관한 지식을 배우고, 국토교통장관 인정학교이다. 졸업과 동시에 2급 건축사의 수험자격을 얻을 수 있다. |
건축공학과 - 삿포로리코학원(홋카이도/에베츠시) htt
목조를 주체로 한 건축전반의 기초지식을 습득한 후, 철근 콘크리트, 철골조 등, 보다 고도한 건축기술을 배운다. 도시와 지역의 계획을 비롯하여 환경공학, 인테리어 등의 폭 넓은 기술도 습득한다. |
건축학과 - 일본공학원홋카이도전문학교(홋카이도/노보리베츠시)  |
건축디자인 코스와 인테리어 디자인 등의 각종 디자인을 CAD나 3D 소프트를 이용하여 창조하고, 감성을 습득한다. 건축 테크니컬 코스, 최신의 디지털 기술을 익히는 것이 목표이다. |
건축공학과 - 전문학교디지털아트센다이(미야기현/센다이시)  |
설계기능을 풍부한 실습으로 익히기 위해 전용의 드로잉 스튜디오는 물론, 한사람에게 한 대의 CAD 머신을 갖추고 있다. 2급 건축사를 취득하도록 백업 체제가 갖추어져 있다. |
정보시스템과·정보시스템코스 - 동북문화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컴퓨터 외에, 부기, 회계나 커뮤니케이션 기법, 프리젼테이션 기법도 배운다. |
건축과 - 동북문화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유연하고 독창적인 사고 능력을 양성함과 함께, 건축기술자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
건축디자인과 - 홋카이도정보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건축과 설비, 실내장식 등 다방면에 걸쳐서 전문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한다. |
건축학과 - 츠쿠바연구학원전문학교(이바라기현/츠치우라시)  |
건축의 기초를 기본으로 한 커리큘럼으로 편성되어 있다. 건축디자인, 건축설계, 시공관리, 인테리어 디자인, 건축 CAD의 5분야 전공제로 자기에게 맞는 전문지식과 기술을 확실하게 익힌다. |
건축디자인과 - 훼리카건축 & 디자인전문학교(군마현/마에마시시)  |
주거 이외에 사무소의 건축과 상업시설 등을 설계하고, 종합적인 계획능력을 양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
건축과·공학코스·복지주거환경코스 CAD설계코스 - 훼리카건축 & 디자인전문학교(군마현/마에마시시)  |
공학 코스는 건축설계, 시공의 스페셜 리스트가 되기 위한 기본적 요소를 망라한 실전적인 커리큘럼 편성이 특징이다. 복지 주거환경 코스는 복지와 간호라고 하는 시점에서부터 건축을 창조한다. CAD설계 코스에서는 CAD의 기술습득 뿐만 아니라 건축물을 설계하는 능력에 중점을 둔 커리큘럼으로 장래를 담당할 기술자를 육성한다. |
인테리어설계학과 - 훼리카건축 & 디자인전문학교(군마현/마에마시시)  |
모형, 프리젼테이션 Board, Perspective 등의 방법으로 아이디어을 구현하는 표현 테크닉을 익힌다. |
건축설비공학과·건축설비코스 - 중앙공학원전문학교(군마현/마에마시시)  |
설계제도, 환경공학, 건축법규 등을 학습한다. 도시기능의 하이테크화에 대응할 수 있는 건축설비기술자를 육성한다. 管공사 시공관리기사와 건축설비검사원 자격자 등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한다. |
건축설계과 - 국제이공전문학교(치바현/치바시)  |
건축물의 설계, 시행관리에 대해서 최신의 지식이나 기술을 폭 넓게 배울 수 있다. 또, 설계제도나 CAD 실습, 측량실습 등을 통하여 미래를 담당할 건축사를 육성한다. |
건축공학과 - 아오야마제도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1급 건축사를 목표로 하기 위해 실전적인 커리큘럼이 특징이다. |
건축설계디자인과 - 아오야마제도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건축의 기초에서 의장설계, 설비설계 등을 배워, 폭 넓게 활약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
건축과 - 아오야마제도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제도의 기초에서 주택설계를 중심으로 배운다. |
건축인테리어공학과 - 아오야마제도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주거 공간과 함께, 상업공간도 토털 디자인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
商공간디자인과 - 아오야마제도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모든 타입의 상업공간 설계와 디자인을 배운다. |
건축인테리어 디자인과 - 아오야마제도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인테리어의 지식에서부터 디자인을 배운다. |
인테리어공학과 - 아오야마제도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주택과 오피스, 점포 등의 설계, 인테리어를 배운다. |
건축과 - 공학원대학전문학교(도쿄도/신쥬쿠구)  |
주간의 제1부에서는 3차원 CAD나 그래픽 & 비즈니스 소프트를 마스터한다. 발상을 형태로 하는 감성 풍부한 커리큘럼을 편성하고 있다. 야간의 제2부에서는 소수정원제 구성으로 전문성을 높인다. |
인테리어디자인과 - 공학원대학전문학교(도쿄도/신쥬쿠구)  |
인테리어 코디네이터와 2급 건축사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한다. 인테리어 코디네이터로서 필요한 실전적인 지식과 기술에서 3차원 CAD의 사용 방법까지를 학습한다. 수업은 소수 정원의 밀착형 스튜디오 웍이 중심이다. |
건축공학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실무능력 클래스 학생의 창조력을 육성한다. |
건축설계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실전적인 설계, 구조, 시공관리 기술 등을 습득하기 위한 폭 넓은 커리큘럼을 평성하고 있다. |
여자건축설계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여성의 감성과 재능을 건축의 분야에서 발휘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준비하고 있다. |
건축설비공학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2년간의 충실한 설비사 양성 커리큘럼에다가 3년차에서 전문을 연구한다. |
건축설비설계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건축에다가 공조, 급배수, 에너지, 전기 등의 설비 관련 과목을 배운다. |
건축과(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사회인도 대상으로 하는 건축사 교육을 행한다. |
건축설비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기업파견의 학생도 많이 배우고 있다. |
건축실내설계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건축의 지식을 골격으로 하는 인테리어 Planning을 배운다. |
건축의장설계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설계 중에서도 가장 습득이 어렵고 공학적인 지식 이외에 많은 지식, 발상, 사고능력을 필요로 하는 건축의장 설계를 습득한다. |
건축설계과·캐리어업코스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다양한 職歷, 학력의 중간과 전문지식과 자격을 습득하고, 건축의 세계에 스킬 Up한다. |
건축공학과 - 도쿄공과전문학교나가노교(도쿄도/나가노구)  |
건축기술의 디지털화에 대응한다. 2주간의 기업실습도 도입하고 있다. |
건축과 - 도쿄공과전문학교나가노교(도쿄도/나가노구)  |
건축을 종합적으로 도입하여 2년 차에서는 선택과목을 대폭으로 도입하고 있다. |
인테리어과 - 도쿄공과전문학교나가노교(도쿄도/나가노구)  |
인테리어와 건축의 두 가지 세계에서 통용하는 인테리어로서의 기초를 배우고, 건축사를 목표로 하는 경우는 환경주거공간 코스로 진출한다. |
건축학과 - 도쿄공학원전문학교(도쿄도/고가네이시)  |
건축공학과 건축설계, CAD 설계, 복지환경 디자인, 인테리어 디자인, 종합 리모델링의 6코스가 있다. |
경영공학과 건축코스 - 도쿄공학원전문학교(도쿄도/고가네이시)  |
대학 倂修 코스이다. |
건축과 - 전문학교도쿄테크니컬칼리지(도쿄도/구니다치시)  |
디지털 디자인과 설계, 설비, 구조의 4개의 스튜디오마다에 전문으로 특화한 커리큘럼이다. 1년 차에서의 전기는 퍼스컴, 제도의 기초 및 2D, 3D CAD를 공통과목으로서 이수한다. |
건축디자인과 - 전문학교도쿄디자이너학원(도쿄도/치요다구)  |
건축 디자인 전공, 건축 CAD전공, 공간디자인 전공, 리빙 디자인 전공의 4전공을 설치하고 있다. 디자인 기초에서부터, 건축법규나 설계제도 등을 토털로 배운다. |
건축학과 - 도쿄일건공과전문학교(도쿄도/도시마구)  |
졸업시의 2급 건축사 합격을 목표로 설계제도, 법규, 계획, 구조, 시공의 각 분야에 걸쳐서 실무에 맞는 커리큘럼으로 편성하고 있다.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2급 건축사학과 시험의 합격실적이 있다. |
건축설계과 - 일본공학원전문학교(도쿄도/오타구)  |
Ecology의 시점을 가지고 사람에게 어울리는 주거설계를 할 수 있는 건축가의 육성을 목표로 하고, 인테리어 교육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수업에서는 환경공생건설, 환경공생형 도시의 아이디어를 근거로 하는 작품 만들기도 한다. |
건축설계과 - 도쿄공학원하치오지전문학교(도쿄도/하치오지시)  |
Ecology의 시점을 가지고 사람에게 어울리는 주거설계를 할 수 있는 건축가의 육성을 목표로 하고, 인테리어 교육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건축디자인, 건축테크니컬, 인테리어 디자인의 3코스가 있다. |
건축학과 - 요미우리이공의료복지전문학교(도쿄도/미나토구)  |
폭 넓은 업무에 대응할 수 있는 건축기술자를 육성한다. |
건축과 - 요미우리이공의료복지전문학교(도쿄도/미나토구)  |
건축의 최일선에서 통용하는 건축기술자를 양성한다. |
건축사전공과 - 요미우리이공의료복지전문학교(도쿄도/미나토구)  |
2급 건축사의 수험자격취득자가 대상이다. |
건축공학과 - 와세다대학예술학교(도쿄도/신쥬쿠구)  |
일반교양에서부터 전문까지를 실전적으로 배운다. 4년차에서는 의장, 구조, 콘크리트의 각 전공으로 나뉜다. |
건축디자인과·건축디자인코스 - 와세다대학예술학교(도쿄도/신쥬쿠구)  |
1, 2년 차에서는 건축과와 공통이다. 3년 차에서는 건축설계와 구조설계의 1코스이다. |
도시디자인과 - 와세다대학예술학교(도쿄도/신쥬쿠구)  |
도시 디자이너 육성을 목표로 한다. |
건축공학과 - 아사노공학전문학교(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  |
일반교양에서부터 전문까지를 실전적으로 배운다. 4년차에서는 의장, 구조, 콘크리트의 각 전공으로 나뉜다. |
건축디자인과·건축디자인코스 - 아사노공학전문학교(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  |
주택디자인, Exterior 디자인을 종합적으로 배운다. |
건축인테리어코스 - 아사노공학전문학교(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  |
2003년 4월 개설예정, 주택의 인테리어(내장)를 중심으로 디자인, 가구, 조명 등 설계자에게 필요한 인테리어의 커리큘럼을 편성하고 있다. 기획에서부터 설계, 관리까지 대응할 수 있는 건축 인테리어 디자이너를 육성한다. |
주거환경디자인과 - 죠에츠정보비즈니스전문학교(니이가다현/죠에츠시)  |
주택설계와 제도 Tracer, 건축환경의 3코스가 있다. 모두 다 실무경험 2년으로 2급 건축사의 수험자격을 얻을 수 있다. Creative한 발상과 아티스트성을 가진 설계사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
건축CAD학과·건축CAD코스 - 국제컴퓨터비즈니스전문학교(나가노현/마츠모도시)  |
졸업과 동시에 2급 건축사의 수험자격을 얻을 수 있고, 그밖에도 건축시행관리기사, 측량사보, 건축시행기술자, 복지주거환경 코디네이터 등의 자격취득이 가능하다. |
건축과 - 후쿠오카산업기술전문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소수정원제 교육으로 확실한 기술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조형이나 문화로서의 건축, 자연환경이나 도시경관과의 조화, 그곳에 살 사람들의 쾌적성 등에도 어프로치 한다. CAD나 CG도 활용할 수 있는 기술자를 양성한다. |
건축학과 - 디자인테크놀로지전문학교(후쿠오카현/하마마츠시)  |
현내의 2년제로는 처음으로 2급 건축사 및 토목건축사 시험 수험의 실무경험 면제학교로, 졸업과 동시에 자격시험에 도전한다. 독자적인 설계사상을 양성하고, 참된 건축 전문가를 육성한다. |
건축과 - 일본건축전문학교(후쿠오카현/후지노미야시)  |
일본인으로서의 지혜나 연구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전통목조건축이다. 그 다채로운 공법을 배움과 동시에 최신의 건축이론이나 설계기술도 습득하고 실전능력이 되는 건축기술자를 육성한다. |
건축학과 - ESSE테크노칼리지가나자와(이시가와현/가나자와시) |
건물이 완성하기까지 일련의 프로세스와 건축기술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건축사 전공과 인테리어 디자인 등을 배우고, 쾌적하고 건강한 공간을 창조할 수 있는 기술자를 목표로 하는 주거 환경전공이 있다. |
건축공학과 - 동해공업전문학교아츠다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수학, 역한 등 기초적인 지식에서부터 설계, 시공 등의 전문적인 지식을 배운다. |
건축설비과 - 동해공업전문학교아츠다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주택에서부터 초고층 빌딩까지의 공조, 위생, 전기부문을 중심으로 건축전반을 빠짐없이 배운다. |
건축공학과 - 동해공업전문학교가나야마교(아이치현/나고야시)  |
1년차 후반부터 디지털 정보, 슈퍼바이저, 패스 모형, 인테리어 디자인, 복지환경의 5가지 코스로 나뉜다. 글리에이티브한 건축기술사의 육성을 목표로 한다. |
환경건축과 - 나고야환경건설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건축개론, 도면작성, 각종 건축의 구조학 등의 전문지식과 응용 능력을 배운다. |
환경설비과 - 나고야환경건설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건축설비의 고 기능화, 다양화에 대응할 수 있는 수준 높은 기술을 가진 기술자를 육성한다. |
건축과건축코스 - 교토국제건축기술전문학교(교토부/후나이시)  |
주택과 빌딩, 대규모시설 등의 건축물에 대하여 배우고, 기초지식이나 테크닉을 익힌다. 1년차에서는 건축, 인테리어 디자인, CAD 등을 배우고, 2년차부터 4개의 코스에서 선택한다. |
건축학과 - 오사카건설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건축 외에 인테리어, 설비, 환경조원, 도시설계, CAD, 건축 OA 등 폭 넓게 종합적으로 배운다. 능력과 적성에 맞는 자격 취득을 목표로 한 교육도 철저하고 실습전문의 건물을 완비하고 있다. |
건축종합학과 - 오사카공업기술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해외나 기업 연수도 편성한다. |
건축학과 - 오사카공업기술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2년차부터는 전문성을 녹이는 8개의 코스로 나뉘어진다. |
건축설비과 - 오사카공업기술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공조, 전기, 급배수를 축으로 설비기술자를 목표로 한다. |
도시개발공학과 - 슈세이건설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토목, 건축의 양 분야에서 정통한 건설의 프로를 육성한다. |
종합건축학과 - 슈세이건설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설계, 디자인, 구조계산, 시공공사 기술 등을 배우고, 프로페셔널을 육성한다. |
건축공학과 - 슈세이건설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철저한 실습 중심을 익히고, 고도화와 복잡화해 가는 현대의 건축기술을 익힌 건축사를 육성한다. |
건축CG디자인학과 - 슈세이건설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건물의 툴을 넘어 인테리어 감각을 취급한 건축설계나 디자인을 배우는 학과이다. |
건축설계과 - 중앙실무전문학교(오사카부/도요나카시)  |
설계와 제도를 메인으로 건축의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건축설비설계과 - 중앙실무전문학교(오사카부/도요나카시)  |
설비관계의 지식 기능을 습득한다. |
복지건축디자인과 - 중앙실무전문학교(오사카부/도요나카시)  |
2003년 4월 개설예정이다. 복지시대의 건축사를 양성한다. |
건축디자인·CAD학과 - 한신자동차항공철도전문학교(효고현/오자키시)  |
건축의 전문지식에다가 인테리어 그리고 최신의 CAD와 CG 등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2급 건축사의 수험자격도 졸업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
건축CAD디자인학과 - 전문학교오카야마정보비즈니스(오카야마현/오카야마시)  |
쾌적한 공간을 창조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건축의 기초지식과 기술을 확실하게 익히고, CAD설계에서부터 인테리어 디자인까지를 폭 넓게 학습한다. |
건축학과 - 오카야마이과대학전문학교(오카야마현/오카야마시)  |
주간부에 건축설계, 건축시공, 인테리어 디자인의 각 코스가 있다. 야간부에는 건축야간 코스가 있고, 만드는 즐거움과 사회, 환경과의 관련 등을 폭 넓은 교양도 배운 기술자를 양성한다. |
건축디자인과·건축디자인코스 - 중국디자인전문학교(오카야마현/오카야마시)  |
사람과 환경에 어울리는 건축사를 염두에 두고 주택, 점포, 대형 건축물의 설계나 도시기능을 생각한 거리 만들기 등을 폭 넓게 배우고, 디자인 능력이 있는 건축사를 목표로 한다. |
건축디자인학과 - 아나부키디자인전문학교(히로시마현/히로시마시)  |
건축설계와 건축 CAD, 복지주거 환경 디자인의 각 전공이 있고, 사물을 어떻게 볼 것인가. 라고 하는 분석 능력을 양성한다. 단순하고 표면적인 디자인이 아니고, 물건의 본연의 모습을 묻는다. |
건축그래픽학과 - 히로시마공업대학전문학교(히로시마현/히로시마시)  |
건축의 언드라인을 이해한 시공관리기술자를 양성하는 건축공학 코스, 2급 건축사 국가 시험 합격을 목표로 하는 건축사 코스, 주거환경 디자인 코스가 있다. |
건축토목공학과 - 히로시마회계학원전자전문학교(히로시마현/히로시마시)  |
건축디자인코스에서는 건축공학 전공, 환경디자인 전공, 인테리어 디자인 전공의 3전공이 있다. 건축의 기본이 되는 지식을 베이스로 건축공학과 환경, 인테리어분야를 학습한다. |
건축토목공학과·건축 CAD 설계코스 - 야마구치정보비즈니스전문학교(야마구치현/우베시)  |
건축기술 전반에 대하여 초보에서부터 응용까지 실무주체를 학습한다. 또, 현장견학을 수업에 채택하여 건축시공관리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도 체험적으로 습득한다. |
건축디자인학과·건축디자인코스 - 전문학교아나부키칼리지(도쿠시마현/도쿠시마시)  |
장래의 건축사를 목표로 한 공부에다가 건축물의 외관 등의 디자인과 제도, 컴퓨터에 의한 설계 기술을 배우고, 기획과 제안을 할 수 있는 건축디자이너를 목표로 한다. |
건축디자인학과 - 전문학교아나부키디자인칼리지(가가와현/다카마츠시)  |
최첨단의 건축구조나 건설재료, 역학 등을 기초에서부터 학습하고, 동시에 설계에 필요한 컴퓨터 실습을 겸한 커리큘럼으로 편성하고, 건축사나 건축디자이너를 목표로 한다. |
건축학과 - 아소공과전문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필수적인 수업 이외에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특별강좌가 있고,「인테리어를 하고싶다」「시공기술에 대해서 배우고싶다」「확실하게 자격증을 따고싶다」등, 다양한 희망에 대응할 수 있다. |
건축공학과 - 규슈공업기술전문학교(후쿠오카현/노오가타시) |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데 대응할 수 있는 감성 풍부한 건축계의 리더의 육성을 위하여 이론과 제도, 디자인, 건축설비 등 종합적으로 습득한다. CAD의 수업에서는 자신이 설계한 건축물의 Purse를 그릴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건축공학과 - 규슈전자기술전문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우수한 건축사에게 필요한 풍부한 창조능력은 물론, 설계의 현장에서 불가결한 CAD 의 조작 방법을 확실하게 익힌다. 최일선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
건축학과 - 사가공업전문학교(사가현/사가시)  |
설계도면에 따라서 건축의 골조를 모형으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실습, CAD에 의한 설계제도, 컴퓨터 실습 등을 통하여 건축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졸업 후에도 건축사 시험의 수험을 위한 야간강좌를 실시한다. |
건축학과 - 고토칼리지(구마모토현/구마모토시)  |
건축학의 기초에서부터 건축자격시험의 취득 대책까지를 학습한다. 컴퓨터 사용방법이나 기술도 배울 수 있고, 측량이나 재료실험 등의 체험학습도 풍부하다. 졸업생의 2급 건축사 시험 대책 강습회도 실시한다. |
공조, 소방설비사 |
▲ TOP |
건축설비학과 - 센다이디지털테크노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건축 및 설비의 기초를 이해한 다음에 공기조화설비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또, 방재의 계획이나 설비유지관리 등의 보수관리에 관한 기초지식과 CAD의 제도실습 수업도 있다. |
건축설비학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2년간으로는 설비사로서의 기초를 배우고, 3년차에「공조」「위생」「전기」설계의 3과목을 전문적으로 배운다. |
건축설비설계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기초에다가 공조, 급배수, 전기 등을 배운다. |
빌딩관리학과 - 나고야공학원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설비에 관한 고도의 지식과 기술을 익힌 토털 엔지니어를 목표로 한다. 전기공사사, 소방설비사, 냉동기계책임자, 보일러기사, 위험물 취급자 등의 자격 취득을 목표로 한다. |
종합설비공학사 - 미야기유니버셜칼리지(미야기현/미야기시)  |
건축물위 전기, 공조, 정보통신 등의 제반 설비를 운전, 보수, 점검하는 관리업무를 하는 인재를 육성한다. 냉동기계책임자, 소방설비사, 보일러기사, 등 많은 자격 취득을 목표로 한다. |
토목기술자, 시공관리기사 |
▲ TOP |
환경토목공학과, 환경토목·녹지시공관리학과 - 삿포로공과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토목, 造園 각각의 시공관리에 대하여 배우고, 2급의 토목과 造園시공관리 기사를 목표로 한다. |
토목공학과 - 삿포로디지털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토목공학개론, 측량학, 도학개론, 건축공학개론 등의 기초지식에서부터 도시계획이나 CAD, 컴퓨터 등의 첨단 분야까지를 학습한다. 국토교통 장관 인정학교이다. |
토목공학과 - 삿포로리코학원(홋카이도/에베츠시)  |
측량이나 설계, 시행관리 등, 모든 건축사업에 대응할 수 있는 토목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한 역학, 토질, 콘크리트 등의 기초이론에서부터 토목설계, 시행, 적산, 시행관리 등의 전문기술을 습득한다. |
토목공학과 - 일본공학원홋카이도전문학교(홋카이도/노보리베츠시)  |
자격취득과 실전능력 양성에 적합한 커리큘럼이다. 1년 차에서는 측량과 설계를, 2년 차에서는 콘크리트나 흙 등의 재료실습이나 퍼스컴 실습을 통하여 시행관리 기술자 등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배운다. |
환경토목과 - 동북문화학원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토목에 관한 기초지식 외에 토질공학, 콘크리트공학, 환경공학, 측량학 등을 습득한다. 장래에, 교량이나 댐, 도시기반 정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토목기술자를 육성한다. |
측량건설과 - 동북이공전문학교(미야기현/야마토마치)  |
측량기술을 기본으로 하면서 토목공학에 대해서의 기초에서부터 응용까지를 습득해 간다. 그 중에서도 토목기술의 필드에 대해서는 토목설계, 시공관리 등 실전능력 양성에 역점을 두고 철저하게 지도한다. |
토목공학과 - 츠쿠바연구학원전문학교(이바라기현/츠치우라시)  |
강의와 실습을 균형있게 채택한 수업전개에 의해 토목설계, 시공에 관한 지식이나 기술을 기초에서부터 실무 수준까지 습득한다. 재학 중에 토목시공 기술자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한다. |
토목공학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토목조사, 토목설계, 환경지학의 3개의 코스가 있다. |
토목건설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토목사업의 Needs의 다양화와 고도화에 대응하기 위한 최신의 커리큘럼이다. 측량과 토목관련의 자격 이외에 토지가옥 조사사나 지도제도의 기술도 습득할 수 있다. |
하수도토목공학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하수도 사업의 Expert를 육성한다. |
토목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대졸자나 사회인도 다수 배우고 있다. |
토목건설과 - 도쿄공학원하치오지전문학교(도쿄도/하치오지시)  |
주변의 환경과 경관과의 조화를 생각한 여유있는 환경 만들기에 공헌할 수 있는 큰 시야와 큰 스케일을 가진 토목기술자의 육성을 목표로 한다. 토목시공관리사 외에 각종의 자격취득에 대응하는 지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
토목건설학과 - 요미우리도쿄이공전문학교(도쿄도/미나토구)  |
토목시공관리사나 측량사를 비롯하여, 각종의 토목관계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한 커리큘럼이 짜여져 있다. 수업은 실험실습에 중점을 두고 토목의 기초에서부터 응용까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
도시공학과·환경토목전공 - ESSE테크노칼리지가나자와(이시가와현/가나자와시) |
환경개발과 환경보전의 조화를 염두에 두고 조원, 도로, 하천, 방재공사, 도시개발 등을 위하여 지식과 기술을 학습한다. 지구환경의 보전과 인류의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기술자를 목표로 한다. |
토목공학과 - 동해공업전문학교아츠다교(아이치현/나고야시)  |
기초과목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수준 향상을 시키고, 교량, 도로, 철도의 설계에 이르기까지 폭 넓게 배운다. 실험과 실습에 중점을 둔 커리큘럼으로 편성하여 보다 고도의 토목기술을 익힌다. |
환경토목과 - 나고야환경건설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토목 일반의 지식과 기술은 물론, 토질공학이나 물 관리 등 폭 넓은 지식을 습득한다. 토목시공관리사의 자격뿐만이 아니라 측량사나 조원시공관리 기사 등도 목표 자격이다. |
도시공학과 - 교토국제건축기술전문학교(교토부/후나이시)  |
환경 디자인과 도시 엔지니어의 코스가 있고, 쾌적한 환경 만들기를 위해 토목, 측량분야의 기본적인 기술, 환경과 인간 관련에 대하여 측량학, 구조역학, 수리학, 토질공학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
건설토목학과 - 오사카공업기술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3년차에는 Urban Development(거리 만들기)코스와 Landscape(꽃과 녹음)코스, 지오 프론트(도시정비)코스로 나뉘어진다. 전원 참가의 해외 연수나 기업연수도 있다. |
건축토목공학과·토목(측량·공무원)코스 - 야마구치정보비즈니스전문학교(야마구치현/우베시)  |
토목에 관한 지식, 기술을 기초에서부터 응용까지를 배우고, 측량, 설계, 시골관리 할 수 있는 토목기술자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희망자에게는 토목직 공무원 수험 지도도 한다. |
환경토목학과 - 아소공과전문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사람과 자연의 조화를 테마로 사람들의 쾌적한 생활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과 경관 디자인에 대하여 배우고, 측량, 토목시공, 조원시공의 각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기술자를 목표로 한다. |
토목공학과 - 규슈공업기술전문학교(후쿠오카현/노오가타시) |
1년차에서는 토목공학의 기초를 2년차에는 시공, 도로 등의 응용기술 능력을 습득한다. 실습을 통하여 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지식이나 기술을 배우고, 하수도 관리 기술인정시험과 그린 운전사 등의 자격 취득도 목표로 한다. |
측량사, 설계기술자 |
▲ TOP |
측량정보과 - 삿포로공과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측량의 기반이 되는 측량개론이나 법규, 수학이나 사진 도면에서부터 測圖·測量을 하는 등을 폭 넓게 배운다. 국가시험에서 면제가 있다. |
환경토목공학과 - 삿포로공과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측량과와 같은 내용을 배울 수 있다. |
토목공학과 - 삿포로리코학원(홋카이도/에베츠시)  |
측량이나 시행관리 등 토털로 배운다. |
측량공학과 - 삿포로리코학원(홋카이도/에베츠시)  |
측량의 기본에서 조사, 계량, 설계, 고도의 측량기술을 배운다. |
측량과 - 삿포로리코학원(홋카이도/에베츠시)  |
측량에 관한 지식을 효율적으로 실전적으로 학습한다. |
토목공학과 - 일본공학원홋카이도전문학교(홋카이도/노보리베츠시)  |
자격취득과 실전능력 양성에 대응한 커리큘럼이다. 1년 차에서는 측량과 설계를, 2년 차에서는 콘크리트나 흙 등의 재료실습이나 퍼스컴 연습을 통하여 시공관리기술자 등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배운다. |
환경토목과 - 동북문화학원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水準측량 설계나 三角측량 실습 등, 풍부한 실습을 통하여 건설회사나 측량회사 등, 폭 넓은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실전적인 기술을 익힌다. 토목 CAD 등 최신의 컴퓨터 기술도 습득한다. |
측량과 본과 A코스 - 센다이정보공과전문학교(미야기현/야마토마치)  |
기본이론에서부터 실습까지 본격적인 학습을 한다. |
측량과 본과 B코스 - 동북이공전문학교(미야기현/야마토마치)  |
측량의 각 분야의 전문지식과 기술에다가 지도제도에 관한 실전능력까지를 배운다. |
측량건설과 - 동북이공전문학교(미야기현/야마토마치)  |
측량에다가 토목분야의 지식, 기술을 습득한다. |
조사설계과 - 동북이공전문학교(미야기현/야마토마치)  |
측량기술 외에 지질, 토질조사 등의 이론에서부터 응용까지 습득한다. |
측량정보기술과 - 동북이공전문학교(미야기현/야마토마치)  |
측량기술에다가 토목공학이나 전자공학도 배운다. |
측량설계학과 - 츠쿠바연구학원전문학교(이바라기현/츠치우라시) |
강의와 실습을 균형있게 채택한 수업전개에 의하여 계획에서부터 측량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실전적으로 익힌다. 측량사와 토목시공관리기사의 자격취득도 목표로 한다. |
측량과 - 국토건설학원(도쿄도/오비라시)  |
측량사로의 최단코스이다. |
측량공학과 - 국토건설학원(도쿄도/오비라시)  |
측량조사전공과 지도정보전공의 2코스에서 선택한다. |
측량토목기술과 - 국토건설학원(도쿄도/오비라시)  |
측량과 토목의 양면에서 건설기술을 배운다. |
측량조사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측량과 지도 작성기술과 토지에 관한 법률지식을 중심으로 배운다. |
측량설계개발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측량의 디지털화에 대응한 실전교육도 한다. |
측량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기본적인 측량기술을 배우고, 단기간으로 자격 취득한다. |
토목건설학과 - 도쿄공업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실습중심의 커리큘럼 편성으로 측량기술, 토목기술을 기초부터 배운다. 측량사, 1급과 2급 토목시공관리기사, 토지가옥 조사사, 1급과 2급 造園시공관리기사 등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한다. |
측량과 - 아이치공업전문학교(아이치현/카스가이시)  |
측량사보 및 측량사의 자격을 무시험으로 취득할 수 있는 최단 코스이다. |
측량설계과 - 아이치공업전문학교(아이치현/카스가이시)  |
측량사(보)가 무시험으로 취득할 수 있고, 토목시공관리기사 등의 수험자격도 얻을 수 있다. |
측량설계과 - 동해공업전문학교 아츠다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측량과 토목의 양쪽을 배우고, 토목, 측량, 업계에 있어서 글로벌한 엔지니어를 목표로 한다. |
측량과 - 동해공업전문학교 아츠다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인공위성을 사용한 GPS 기술 등, 측량 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
녹화디자인과 - 나고야환경건설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자연과 친해지면서 수목의 재배나 현대생활에 윤택함을 줄 수 있는 조원, 원예기술을 습득한다. |
측량전문학과 - 긴기측량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측량의 기본을 중점으로 채택한 커리큘럼으로 편성하고 있고, 공중 사진측량의 수업도 있다. |
정보측량학과 - 긴기측량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측량기술에다가 컴퓨터 조작과 프로그래밍도 학습할 수 있다. 토목분야도 채택하고 있다. |
비즈니스측량학 - 긴기측량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측량기술과 지식에다가 최종 목표를 독립개업으로서 재학 중에서 경영학, 부기, 설립에 필요한 지식을 배울 수 있다. |
측량과·측량건설과 - 중앙실무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측량에 관한 폭 넓은 전문지식을 효과적이고 실전적으로 학습한다. 최신기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시대에 맞는 커리큘럼을 편성하고 있다. 졸업 시에는 무시험으로 측량사보 자격의 취득이 가능하다. |
측량정보공학과 - 히로시마공업대학전문학교(히로시마현/히로시마시)  |
최신의 측량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지형정보자동도화 시스템 등의 실습을 한다. |
측량토목공학과 - 히로시마공업대학전문학교(히로시마현/히로시마시)  |
토목시공관리기사의 자격을 가지고 더 나아가 측량의 전문기술을 익힌 인재를 육성한다. |
조원시공관리기사 |
▲ TOP |
환경녹지공학과 - 삿포로공과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조원엔지니어, Gardening, Landscape 디자인 3코스가 있다. |
환경토목·녹지시공관리학과 - 삿포로공과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풍부한 실습을 통하여 폭 넒은 기술을 익힌다. |
원예 1류학과, 조원·녹화코스 - 테크노홀티원예전문학교(사이다마현/교우다시)  |
조원기술을 중심으로 화단재료나 수목, 植栽법 등을 마스터한다. |
원예 2류학과, 조원·녹화코스 - 테크노홀티원예전문학교(사이다마현/교우다시)  |
조원시공과 조원설계의 2개의 전공이 있다. |
조원토목공학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일본의 전통적인 조원기술에다가 최신의 토목공학을 근거로 건축, 도시, 국토계획까지를 시야에 넣고 종합적인 조원공학 교육을 한다. 토목, 측량, 조원에 관한 과목이나 실습을 균형있게 배운다. |
환경주택원예과 - 일본자연환경전문학교(니이가다현/니이가다시)  |
Gardening, 플라워 디자인을 중심으로 인테리어, 건축, 설계관계를 배운다. 졸업 후에 실무경험을 쌓는 것으로 2급 건축사나 조원시공관리기사 등의 자격시험을 수험할 수 있다. |
환경건설과 - 동해공업전문학교아츠다교(아이치현/나고야시)  |
폭 넓은 기술을 익히고, 지구환경을 생각하는 기술자를 양성한다. 데생이나 실무실습 등을 중심으로 기초과목에서부터 실전에 도움이 되는 토목과 조원의 시공학, 적산, Landscape 디자인 등을 배운다. |
도시공학과 - 교토국제건설기술전문학교(교토부/후나이시)  |
환경디자인과 도시엔지니어 코스가 있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토목, 측량분야의 기본적인 기술이나 환경과 인간의 관계에 대하여 학습한다. 가든 Planner나 조원설계사도 목표로 한다. |
커텐디자인과 - 슈세이건설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造園기술을 베이스로 조형미 있는 Gardening의 방법을 채택하여 식물을 중심으로 한 공간 디자인을 배운다. 컴퓨터를 사용한 자신의 이미지를 자유자재로 표현하는 능력을 양성한다. |
CAD OP, 트레이서 |
▲ TOP |
건축설계 CAD과 - 아오야마공학 의료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건축의 기초를 이해함과 동시에 화상, 사진 등의 디지털 편집의 활용을 배우고, 디자인, 기획, 제안하는 능력을 양성한다. CAD 소프트 개발 등 첨단 생산관련에 있어서도 통용하는 능력을 양성한다. |
CAD제도과 - 삿포로의료리하비리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실제로 CAD를 되풀이하면서 최첨단의 특수사진 기능을 익히는 동시에 건축공학, 기계공학 등의 기초 이론도 습득한다. CAD 이용 기술자검정 1급 합격률 62.5%(2001년도)이다. |
CAD 디자인과 - 센다이디자인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CAD 설계 디자인에 관한 지식이나 기술을 학습할 뿐만 아니라 Mac 등의 화상 처리 소프트나 주변기기에 대해서도 폭 넓게 학습한다. CAD 디자이너 오퍼레이터를 목표로 한다. |
CAD설계과 - 전문학교디지털아트센다이(미야기현/센다이시)  |
졸업생은 건축설계를 비롯하여 기계설계와 공업디자인, 일렉트로닉스 등의 분야에서 활약한다. CG-ARTS 협회 인정의 강사에 의한 실전적인 수업으로 고도한 CAD 설계기술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
CAD건축디자인과 - 동북전자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CAD 이용기술자 시험, Tracer 기술검정 등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한다. |
CAD설계제도과 - 동북전자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최신의 3차원 CAD 소프트와 하드의 설비를 완비하고 있다. 실습중심의 수업으로 기술을 습득한다. |
측량과본과 - 센다이정보공과전문학교(미야기현/야마토마치)  |
2급 지도제도사와 Tracer 기능검정 1급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한다. 1년차에서는 측량의 실습에 포인트를 두고 실력을 양성한다. 측량업계나 지도제도 업계에서 폭 넓게 활약할 수 있는 인재육성이 목표이다. |
정보처리학과 - 미토전자전문학교(이바라기현/미토시)  |
CAD 기술 외에 프로그래밍 설계, C언어, BASIC 등도 배운다. |
정보기술학과 - 미토전자전문학교(이바라기현/미토시)  |
CAD의 기초에서부터 실전적인 테크닉까지를 배운다. 비즈니스실무나 인터넷 실무도 있다. |
건축CAD설계과 - 미토일건공과전문학교(군마현/마에바시시)  |
플랜설계나 건축사로서의 센스의 육성을 중시한다. CAD 시스템을 비롯하여 제도기술의 기초를 익힘과 동시에 「건물을 사용할 사람의 입장을 생각한다.」건축사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
건축설계공학과·건축설비설계(CAD)코스 - 중앙공학원전문학교(군마현/마에마시시)  |
CAD 이용기술자 시험 등의 합격이 목표이다. |
디자인 & Craft 학과·생활환경 디자인코스, 건축디자인 코스 - 중앙공학원전문학교(군마현/마에마시시) |
제도의 기초에서부터 학습한다. |
건축디자인과 - 훼리카건축 & 디자인전문학교(군마현/마에바시시)  |
주거나 상업시설 등을 설계하고, 종합적인 계획 능력을 양성한다. |
건축공학 코스 - 훼리카건축 & 디자인전문학교(군마현/마에바시시)  |
기본적인 요소를 망라한 실전적인 커리큘럼이다. |
건축과 복지주거환경 코스 - 훼리카건축 & 디자인전문학교(군마현/마에바시시)  |
복지와 개호라고 하는 시점에서 건축을 창조해 간다. |
건축과 CAD설계 코스 - 훼리카건축 & 디자인전문학교(군마현/마에바시시)  |
건축물을 설계하는 능력에 중점을 둔 커리큘럼으로 장래를 담당할 기술자를 목표로 한다. |
CAD제도과 - CAD제도전문학교(사이타마현/고시가야시)  |
건축코스, 토목코스, 기계코스, CG코스의 4코스제이며, 기술과 지식의 양면을 중시한 커리큘럼을 편성하고 있다. Auto CAD 오퍼레이터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한다. |
시스템공학과 - 혼다인터네셔널테크니컬스쿨(사이타마현/오오이시)  |
컴퓨터의 기초부터 CAD/CAM시스템, 로봇제어기술, 모델링 기술 등을 혼다 그룹의 각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과 같은 설비와 소프트를 사용하여 배운다. |
건축설계과 - 국제이공전문학교(치바현/치바시)  |
손으로 그리는 도면의 기초에서부터 CAD를 사용한 도면 외에 건축에 대해서의 지식도 배운다. |
인테리어디자인과 - 국제이공전문학교(치바현/치바시)  |
연습을 중심으로 한 CAD테크닉을 마스터한다. |
CAD 설계제도과 - 아오야마제도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국제성이 풍부한 폭 넓은 지식을 가진 기술자를 육성한다. 건축, 기계, 전기의 폭 넓은 분야로 제도의 기본에서부터 CAD의 응용기술과 설계의 전문지식을 배울 수 있다. |
테크니컬 3D·CAD과 - 공학원대학전문학교(도쿄도/신쥬쿠구)  |
컴퓨터를 사용한 각종 시뮬레이션 기술이나 응용기술에는 소수정원제에 의한 맨투맨 교육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기초에서부터 확실하게 배울 수 있다. |
3D-CAD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건축이나 공업 디자인 등의 분야에서 표준이 되고 있는 3차원 CAD의 스페셜리스트를 육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 나아가 고도한 컴퓨터 기술력까지 종합적으로 습득하고, 취직에 유리한 자격의 취득을 목표로 한다. |
CAD Expert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업계에서는 2차원 CAD의 定番 소프트인「Auto CAD」와 선진의 3차원「솔리드 웍스」의 조작을 중심으로 학습하고, 1년간으로 CAD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완전하게 마스터한다. |
건축디자인과 - 전문학교도쿄디자이너학원(도쿄도/치요다구)  |
건축디자인 전공, 건축CAD 전공, 공간디자인 전공, 리빙 디자인전공의 4전공을 설치하고 있다. 디자인 기초에서부터 건축법규나 설계제도 등을 토털로 배울 수 있다. |
건축CAD설계과 - 도쿄일건공과전문학교(도쿄도/도시마구)  |
일하면서도 배울 수 있는 야간 코스이다. 일을 그만둘 수 없는 사람, 건축을 본격적으로 배우고 싶은 학생(더블 스쿨)에게 적합하다. 수업 개시시간은 18시40분이다. |
CAD설계제도과 - 일본공학원전문학교(도쿄도/오타구)  |
기계 CAD코스와 건축 CAD코스가 있다. 완전한 초보자도 실습을 많이 채택한 수업으로 필요한 기능과 지식을 습득한다. CAD이용 기술자시험의 본회장으로서 인정받고 있다. |
건축디자인과·건축CAD코스 - 아사노공학전문학교(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  |
건축의 기초를 배우고 CAD의 이용기술을 학습한다. 주택 디자인을 중심으로 인테리어, Exterior 디자인을 종합적으로 배우는 건축디자인 코스도 설치하고 있다. |
정보시스템과·Mechanic CAD코스 - 엡손정보전문학교(나가노현/스와시)  |
2차원, 3차원의 CAD 시스템의 조작방법을 마스터하고, 기초기술을 익힌 다음에 CAD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용, 관리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
멀티미디어과·CAD디자인코스 - 누마즈정보전문학교(후쿠오카현/누마즈시)  |
건축이나 디자인의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고, 컴퓨터에 의한 최신기술을 제도 디자인이라고 하는 치밀하고 감각적인 분야에서 정교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
CAD과 - 하마마츠정보전문학교(후쿠오카현/하마마츠시)  |
물건 만들기」의 기본인 3차원 CAD에 의한 기계설계의 기술이나 제품에 이르기까지의 공정 등을 학습한다. |
CAD·CAN학과 - 아이치공업대학정보전문학교(아이치현/도요다시)  |
기계의 설계, 제작법, 제도지식을 습득한 후에 컴퓨터에 의한 2차원, 3차원의 설계와 제도기법 등을 배운다. |
정보공학과 - 아이치공업대학정보전문학교(아이치현/도요다시)  |
CAD 엔지니어 전공 외에 6전공을 설치하고 있다. |
CAD 드래프트과 - 동해공업전문학교가나야마교(아이치현/나고야시)  |
건설, 토목, 기계업계에서 CAD 시스템을 사용한 오퍼레이터를 육성한다. 손으로 그리는 제도에서부터 CAD를 사용한 응용 제도까지 많은 시간을 실습에 할당하고 있다. |
건축CAD디자인과 - 나고야환경건설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CAD 디자이너로서의 전문 지식은 물론, 건축 전반에 대해서도 배운다. 정보수집이나 발신을 이메일이나 인터넷에서 하는 등 건축의 IT개혁을 배우는 새로운 학과이다. |
기계CAD설계과 - 나고야공학원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제품설계의 최일선에서 일하는 CAD 설계기술자를 양성한다. 기계나 전기전자 등의 기초를 배우고, JIS 규격에 근거한 설계와 제도에 대하여 실습을 주체로 CAD기술을 익힌다. |
건축과컴퓨터설계코스 - 전수학교 교토건설대학교(교토부/후나이시)  |
컴퓨터 설계에 의한 기본적인 3차원 CAD를 포함한 평면, 입면도의 프리젼테이션 도면의 작성에서 공업화 주택의 건축생산 행정 등의 도면 작성까지 배울 수 있다. |
CAD테크놀로지과 - 오사카공업기술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CAD 제도만의 기술습득뿐 만이 아니라 IT혁명과 기술혁명, 정보기기의 보급에 따른 컴퓨터 Literacy도 겸비한 종합적인 기술자를 목표로 한다. |
건축디자인과, CAD CG 인테리어코스, 건축CAD설계코스 - 일본이공정보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건축수학, 圖學, 인테리어 설계 등의 기초과목을 학습한 후, CAD를 사용하고, 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응용 능력을 익힌다. |
정보처리학과·CAD전공 - 고베전자전문학교(효고현/고베시)  |
프로덕트나 건축, 디자인 등의 기초지식을 베이스로 고도한 3차원 CAD에 의한 영상제작이나 실제의 사진합성을 하면서 디지털 컨텐츠을 만들어낼 수 있는 스페셜 리스트를 육성한다. |
건축CAD설계과 - 나라컴퓨터전문학교(나라현/나라시)  |
풍부한 실습수업으로 CAD의 기술을 마스터하고, 건축 CAD 실무 능력인정시험 등의 합격을 목표로 한다. 나라라고 하는 입지를 살려서 헤이죠궁의 유적지나 藥師寺등의 야외 견학의 학습도 정기적으로 한다. |
건축CAD과 - 아소공과전문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인테리어 디자인, 숍의 디자인, 복지주거환경, 하우징 인포메이션의 4전공으로 실적 능력을 양성한다. 각 전공모두 졸업 후에 실무 경험 1년으로 2급 건축사 토·목조건축사의 수험이 가능하다. |
CAD제도과 - 규슈공업기술전문학교(후쿠오카현/노오가다시) |
최신의 설비를 사용한 실전적인 학습으로 건축제도, 토목제도, 측량제도 등, 폭 넓은 분야의 이론과 기술을 습득한다. Tracer 기술검정, 레트링 기능검정 등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한다. |
CAD디자인학과 - 전문학교스바루오하라자동차대학교(후쿠오카현/기타규슈시)  |
CAD 디자인 코스와 건축 CAD 코스가 있다. 단, CAD를 조작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설계나 제도의 기본이 되는 도면을 읽고 그리는 능력을 습득한다. |
CAD제도학과, 인테리어디자인공학과, 정보처리학과 - 후쿠오카공업전문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각각의 개성을 살려서 CAD 이용기술자와 Tracer 기능검정, 정보처리기술자 등의 자격을 취득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CAD 응용학과 - 고토칼리지(구마모토현/구마모토시)  |
평면도에서부터 3차원까지 CAD 기술을 습득하는 CAD 설계코스, 건축 디자인코스, 프로 코스가 있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오퍼레이션 능력을 익히는 CG 디자인 코스가 있다. |
전기, 전자, 통신기술자 |
▲ TOP |
전지전자·시스템공학과 - 삿포로과학기술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두 가지의 코스가 있고, 전가공학 코스에서는 실전능력을 위해서 기초지식과 기술, 센스를 육성한다. 정보시스템 코스는 통신기술자나 회로설계자 등을 육성한다. |
종합테크놀로지과 - 일본공학원홋카이도전문학교(홋카이도/노보리베츠시)  |
인간성이 풍부한 엔지니어를 목표로 한 지식기술을 습득한다. |
전기공학과 - 일본공학원홋카이도전문학교(홋카이도/노보리베츠시)  |
전지에너지를 어떻게 발생시켜서, 가정이나 빌딩에 효율적으로 보내는지를 테마로 하여 학습한다. |
전기공사학과 - 전문학교디지털아트센다이(미야기현/센다이시)  |
전기공사사 시험에 대응한 커리큘럼 편성이다. |
가전전기공학과 - 전문학교디지털아트센다이(미야기현/센다이시)  |
전기수리기술의 실습을 중시한 커리큘럼 편성이다. |
전자공학과 - 전문학교디지털아트센다이(미야기현/센다이시)  |
전기통신설비 공사담임자격취득을 목표로 한다. |
디지털가전과 - 동북문화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아날로그회로, 디지털회로, 어느 쪽으로도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 엔지니어를 육성한다. |
일렉트로닉스공학과 - 동북문화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일렉트로닉스 기술을 익히고, 통신과 전자의 스페셜 리스트를 목표로 한다. |
인터넷통신학과 - 츠쿠바연구학원전문학교(이바라기현/츠치우라시)  |
통신공학이나 유닉스 등을 배우고, 인터넷 서버의 구축과 운용기술을 익힌다, 전기통신설비공사 담임자 시험의 기초과목이 면제된다. |
전기기술학과·전기공사사코스 - 국제정보비즈니스전문학교(도치기현/우츠노미야시)  |
옥내배선에서부터 배전, 설계공사 등 생활에 밀접한 학습이나 안전한 전기공급에 대해서 배운다. 더 나아가 실무능력을 높이기 위해 제2종 전기공사사 시험의 범위를 초월한 실전학습도 한다. |
디지털통신공학과 - 중앙공학원전문학교(군마현/마에마시시)  |
정보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시스템, 모바일 네트 비즈니스 등 5개의 코스가 있다. |
건축설비공학과·전기설비설계코스 - 중앙공학원전문학교(군마현/마에마시시)  |
전기의 시공관리기술을 배운다. |
전기기술과 - 공학원대학전문학교(도쿄도/신쥬쿠구)  |
확실한 기술과 자격을 가진 전력설비 & 전기공사의 프로를 양성한다. 전기주임 기술자, 전기공사사, 전기공사시공 관리기사의 자격취득에 맞추어, 기초부터 응용까지 배울 수 있는 커리큘럼으로 편성되어 있다. |
홈일렉트로닉스과 ·디지털가전코스 - 치요다공과예술전문학교(도쿄도/다이도구)  |
가전기기의 소프트와 하드의 양면을 이해하고 설계와 조정, 수리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홈 일렉트로닉스의 최신 기술을 습득한다. |
전기전자학과 - 도쿄공학원전문학교(도쿄도/고가네이시)  |
1년 차에서부터 코스별로 커리큘럼을 설정하고 있다. 전자기술, 네트워크기술, 전기설비의 설계와 공사에서부터 유지나 관리 등의 지식과 기술을 보다 전문적이고 합리적으로 배워간다. |
전자공학과 - 도쿄공업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정보통신기기의 개발과 제조, 보수 등의 관리기술자 및 네트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전기와 전자 엔지니어의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기공사사, 전기주임기술자 등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전자공학과 - 도쿄전자전문학교(도쿄도/도시마구)  |
전자·전기회로를 기초에서부터 배운다. |
전자정보기술과 - 도쿄전자전문학교(도쿄도/도시마구)  |
멀티미디어 가전제품 등의 기초기술을 배운다. |
전기공학과 - 도쿄전자전문학교(도쿄도/도시마구)  |
전기주임 기술자가 목표이다. |
전자공학과 - 일본공학원전문학교(도쿄도/오타구)  |
통신 테크놀로지계와 컴퓨터 테크놀로지계, 멀티 미디어계, 홈 일렉트로닉스계의 4계통을 설치하고 있다. |
전기공학과 - 일본공학원전문학교(도쿄도/오타구)  |
전기주임기술자를 시작으로 하는 풍부한 인정자격이 특징이다. |
전기공사과 - 일본공학원전문학교(도쿄도/오타구)  |
전기주임기술자의 자격을 실무경험으로 취득한다. |
전자공학과 - 도쿄공학원하치오지전문학교(도쿄도/하치오지시)  |
일렉트로닉스, 네트워크, 디지털 미디어의 3분야가 있다. |
전기공학과 - 도쿄공학원하치오지전문학교(도쿄도/하치오지시)  |
기초에서부터 최첨단의 전문기술까지를 습득한다. |
전기공사과 - 도쿄공학원하치오지전문학교(도쿄도/하치오지시)  |
설계와 시공기술자를 양성한다. |
전자정보학과 - 일본전자전문학교(도쿄도/신쥬쿠구)  |
정보가전 기술 및 무선, 유선 통신 기술 등의 최신의 응용기술을 폭 넓게 배울 수 있다. |
전자응용공학과 - 일본전자전문학교(도쿄도/신쥬쿠구)  |
기초를 습득한 후, 전자설계, 오디오 비쥬얼·로봇 등을 배운다. |
전기공학과 - 일본전자전문학교(도쿄도/신쥬쿠구)  |
전기주임기술자 인정학과로서 실험과 실습을 통하여 전기의 이론을 배운다. |
전기공사기술과· 전기공사사과 - 일본전자전문학교(도쿄도/신쥬쿠구)  |
2과목 모두 제2종 전기공사사의 인정학과이다. |
전기기술학과, 전자기술코스 - 요미우리도쿄이공전문학교(도쿄도/미나토구)  |
각 코스에서 전기공학사, 전기주임기술자, 공사담임자 등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
컴퓨터과·전자기술코스 - 누마즈정보전문학교(후쿠오카현/누마즈시)  |
연구개발, 제어계 메이커에서 요구되고 있는 C언어와 전자회로를 축으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복합기술로, 정통한 개발형의 기술자를 육성한다. |
전기공학과 - 나고야공학원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강전분야, 전기설비 등의 관리책임자를 목표로 한다. |
전업기술학과 - 나고야공학원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전기설비의 설계를 할 수 있는 전기의 토털 전문가를 목표로 한다. |
빌딩관리학과 - 나고야공학원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빌딩관리에 필요한 각종의 설비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학습한다. |
전기공학사과 - 나고야공학원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실습과 실험을 중심으로 지식이나 기술을 배운다. |
정보통신학과 - 나고야공학원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무선통신사 코스와 무선기술사코스, 전자기술코스의 3코스를 설치하고 있다. |
전자·전기공학과 - 오사카전자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전자공학코스, 가전서비스, 전기설비의 3코스가 있다. |
디지털공학분야 - 오사카전자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정보통신코스가 있고, 데이터 통신이나 위성방송통신, 광통신기술 등을 배울 수가 있다. |
전기디지털정보과 - 일본이공정보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전기공사사, 정보가전코스와 전기주임기술자 코스가 있다. |
전자공학과 - 일본이공정보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음향, 영상, 테크노 & Creator 코스와 디지털 방송, 통신 코스가 있다. |
정보공학과 - 고베전자전문학교(효고현/고베시)  |
전자회로의 기초에서부터 응용까지를 철저하게 배운다. 전자회로의 실제를 파악하기 위해, 학생이 자신의 손으로 하는「회로제작실습」을 중시한다. 균형있는 기술자의 육성을 목표로 한다. |
전기·전자공학과 - 한신자동차항공철도전문학교(효고현/오자키시)  |
전기공학사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전기공사사 코스와, 전기통신설비공사 담임자나 전지주임기술자, 가정용전기 기기와 전자기기수리기술자의 자격 등을 목표로 하는 전기, 전자기술 코스가 있다. |
전기통신공학과 - 아나부키컴퓨터칼리지(가가와현/다가마츠시)  |
2002년 4월에 개설되었다. 전기에 관한 자격에서부터 네트워크에 관한 자격까지를 취득할 수 있다. 전기공사, 통신단말, 네트워크 부설을 혼자서 담당할 수 있도록 능력을 익힌다. |
전기공학학과 - 유빅정보전문학교(오사카부/히라가다시)  |
졸업과 동시에 제2종 전기공사사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외에 전기, 전자, 통신의 각종 자격 취득을 목표로 한다. 통신 관련의 자격인 공사담임자 시험의 과목면제의 특전도 있다. |
전기공학과 - 규슈전기전문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전기주임기술자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한다. 또, 수학, 물리학에 중점을 둔 일반 교육과목도 학습한다. |
정보통신공학과 - 규슈전기전문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멀티미디어나 인터넷에 대하여 학습한다. 실습중심의 수업으로 컴퓨터의 소프트면과 하드면의 양면에 강한 기술자를 육성한다. |
전기공사사과 - 규슈전기전문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단기간으로 전기공사사의 자격취득을 실현하기 위해, 지식과 기술을 효율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커리큘럼이 짜여있다. |
음향디자이너, 엔지니어 |
▲ TOP |
멀티미디어과·디지털사운드코스 - 글로벌아카데미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게임에 사용하는 사운드의 작성이나 음향 소프트를 사용하여 작곡을 하는 사운드 글리에이터를 양성한다. 콘테스트나 전시회에 참가하여 실력을 익혀간다. |
뮤직스텝학과 - 전문학교디지털아트센다이(미야기현/센다이시)  |
전국 유수의 사운드 레코딩 스튜디오를 가진 사운드 디렉터 코스와 콘서트 프로듀스 코스, 무대미술 코스가 있다. 그밖에 뮤직 비즈니스학과도 있다. |
디지털 음향기술과 - 동북전자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Needs가 높은「음의 스페셜리스트」MA 엔지니어·PA엔지니어의 기술을 철저하게 마스터한다. 프로에 가까운 환경에서 리얼한 현장감각을 양성하고, 음의 메신저를 목표로 한다. |
녹음·PA기술과 - 음향기술전문학교(도쿄도/미나토구)  |
디지털 기술, 멀티트랙 녹음과 트랙다운, 작, 편곡기법 등 폭 넓은 기술력과 창조 능력을 육성한다. |
디지털영상음향과 - 음향기술전문학교(도쿄도/미나토구)  |
방송프로그램, 게임, 비디오 소프트, 영화 등의 영상제작기술과 음성·음악의 녹음기술을 종합적으로 배운다. |
전자음향·홀 & 스튜디오설계과 - 음향기술전문학교(도쿄도/미나토구)  |
음향설계의 기초에서부터 실제의 시공, 더 나아가 홀이나 스튜디오의 운영방법도 배운다. |
음향기술과 - 동방학원음향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레코딩 믹스, PA 믹스, 방송음성·MA믹서의 3코스가 있다. 스튜디오 레코딩, 라이브, 방송업계의 음향분야에서 활약하는 스페셜 리스트를 육성한다. |
컴퓨터뮤직과 - 일본전자전문학교(도쿄도/신쥬쿠구)  |
컴퓨터에 의한 음향제작, 작곡, 편곡방법을 배운다. |
음향예술과·사운드 Creator코스 - 일본전자전문학교(도쿄도/신쥬쿠구)  |
프로사양의 스튜디오에서 현장 활약 중의 선배로부터 지도를 받는다. |
뮤직학과 - 컴퓨터종합학원HAL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게임 사운드 Creator 전공, 사운드 엔지니어 전공, 뮤직 Creator 전공, 음향프로듀스 전공이 있다. 업계 최첨단의 스튜디오에서 실습수업을 할 수 있다. |
음향영상학과·방송학과 - 나고야공학원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음향과 영상, 조명 등에 대하여 배우고, 하드 부분도 이해하고 있는 종합적 능력이 있는 믹서를 육성한다. 그밖에 조명 오퍼레이터, 카메라 기술자도 육성한다. |
사운드Creator 분야 - 오사카전자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음향예술 코스가 있고,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활약할 수 있는 스텝을 육성한다. 그밖에 무대예술 코스, 디지털 믹싱 코스도 있다. |
뮤직학과 - 컴퓨터종합학원HAL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게임 사운드 Creator 전공과 사운드 엔지니어 전공, 뮤직 Creator 전공, 음향프로듀스 전공이 있다. 업계 최첨단의 스튜디오에서 실습수업을 할 수 있다. |
전자공학과, 사운드아트전공, 사운드테크닉전공 - 일본이공정보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현장에서 실전적으로 활약할 수 있는 PA나 믹싱 오퍼레이터, 사운드 디렉터 등을 육성한다. 특별 설계의 스튜디오에서 리얼한 실습을 중심으로 실력을 양성한다. |
정보처리학과, 사운드아트전공, 사운드테크닉전공 - 고베전자전문학교(효고현/고베시)  |
음향, 음향이론의 학습에서부터 MIDI, Manipulator, 사운드 디자인, 레코딩, PA등을 실습을 중심으로 실력을 양성한다. |
음향예술학과, 음향코스 - 히로시마공업대학전문학교(히로시마현/히로시마시)  |
PA실습이나 레코딩 실습, 방송국에서 온 에어 되는 학생 기획의 FM 라디오프로그램 제작 등의 실전적인 수업을 통하여 음향과 조명을 배워간다. |
기계설계, 개발기술자 |
▲ TOP |
전자제어(메카트로닉스)학과 - 츠쿠바연구학원전문학교(이바라기현/츠치우라시)  |
로봇제작 등을 통하여 마이컴 제어나 전자회로 설계, 기계공학 등을 배운다. 전국 로봇경진대회에는 제1회 째부터 매회 참가하고 있고, 준우승을 비롯하여 수많은 실적을 남겼다. |
전자공학과·전자제어 테크놀로지 코스, 디지털 가전테크놀로지 코스, 로봇 & 메카트로닉스 코스 - 중앙공학원전문학교(군마현/마에마시시)  |
전자계측과 전자제어,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의 영역에서부터 전자테크놀로지까지 학습한다. |
시스템공학과 - 혼다인터네셔널테크니컬스쿨(사이다마현/오이마치)  |
물건 만들기와 IT의 Collaboration을 목표로, 컴퓨터가 처음인 사람에게도 무리없이 배울 수 있는 커리큘럼을 편성하고 있다. 혼다 그룹의 각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과 같은 설비와 소프트를 사용하고 있다. |
기계설계CAD과 - 아오야마제도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전기기기, 자동차 등의 신변 기기에서부터 산업용 로봇 등의 대규모적인 기계의 설계기술까지를 배운다. 또, CAD 실습도 풍부하게 한다.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엔지니어를 양성한다. |
Mechanical 3D, CAD과 - 공학원대학전문학교(도쿄도/신쥬쿠구)  |
컴퓨터를 사용한 각종 시뮬레이션 기술이나 응용기술에는 소수정원제에 의한 맨투맨 교육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기초에서부터 확실하게 배울 수가 있다. |
Mechanical 디자인과 - 중앙공학교(도쿄도/기타구)  |
로봇, 프로덕트, 복지기기, 장난감의 4전공이 있다. 메카트로닉스를 중심으로 설계와 개발에서 메카트로닉스까지를 폭넓게 학습할 수 있다. 물건 만들기를 통한 감성이 풍부한 디자이너를 육성한다. |
장난감공학과 - 일본전자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사람들의 마음을 만족시킬 수 있는 아이템으로서 인기와 주목을 받고 있는 애완용 로봇과 같은 하이테크의 장난감을 창조하는 장난감의 글리에이터를 육성한다. |
하드웨어기술과 - 니이가다컴퓨터전문학교(니이가다현/니이가다시)  |
로봇 제작을 위한 컴퓨터 기술을 비롯하여 전지, 전자, 프로그램, 메카니스 등을 배운다, 산업용 로봇이나 공장의 자동화 시스템을 배우는 코스도 있다. |
전자제어학과 - 아이치공업대학정보전문학교(아이치현/도요다시)  |
전자기술을 중심으로 전기, 기계, 컴퓨터 등을 폭 넓게 학습한다. 실제로 공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업용 로봇이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충실한 실습 수업을 하고 있다. |
기계·전자학과 - 중부대학기술문화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메카니스(기계분야)를 확실하게 배운 다음 일렉트로닉스(제어분야)의 기식이나 기능도 익힌 메카트로닉스 엔지니어를 육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
기계공학과 - 동해공업전문학교아츠다교(아이치현/나고야시)  |
기계업계가 요구하는 3차원 CAD설계, 3차원 CAE 설계, 3차원CAM 가공 등 최신 시스템의 학습도 있다. 고도한 전문기술을 가진 엔지니어를 육성한다. |
종합제어시스템과 - 나고야공학원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제어장치나 로봇의 개발 설계를 하는 종합엔지니어를 육성한다. |
제어공학과, 제어·로봇코스 - 나고야공학원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자동차제어 엔지니어나 로봇 설계엔지니어를 목표로 한다. |
로봇·기계학과 - 오사카공업기술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로봇을 생각하고, 제작하고, 조작하고, 즐긴다라고 하는 매일의 수업을 통하여 물건 만들기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이나 창조능력을 습득한다. 넓은 산업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인재의 육성도 목표로 한다. |
정보공학과·로보틱스코스 - 일본이공정보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21세기의 로봇 시대에 필요한 전문 기술자를 양성한다. 로봇공학, CAD 시스템, 기계학, 기계공학 등을 기초에서부터 실전적으로 학습한다. 로보틱스 실험도 한다. |
기계시스템공학과 - 한신자동차항공철도전문학교(효고현/오자키시)  |
철도차량과 운행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기계제어의 스페셜 리스트를 육성하는 철도운행 코스, 산업로봇의 시스템과 기계설계에 있어서 CAD 이용기술을 배우는 제어·CAD코스가 있다. |
응용정보학과, 기계시스템코스 - 히로시마공업대학전문학교(히로시마현/히로시마시)  |
실무경험이 풍부한 강사에 의한 알기 쉬운 지도와 풍부한 실습으로 실무 수준의 실력을 익힌다. 컴퓨터를 관계의 설비는 방과후에도 희망에 따라 개방한다. |
기계설계과 - 규슈공업기술전문학교(후쿠오카현/노오가다시) |
기계공학의 기초가 되는 이론과 제도에 관한 지식, 기술을 배운다. 또, 컴퓨터를 사용하여 각종의 계산과 계측기술도 마스터한다. 모든 기술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익혀간다. |
자동차정비사 |
▲ TOP |
자동차공학과·2급자동차정비사코스, 자동차이륜차코스 - 삿포로과학기술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1년차에서는 엔진 및 샤시의 분해, 점검, 설비 등을 한다. 2년차에서는 엔진, 동력전달장치 등을 점검하고 정비하는 기술을 배운다. |
자동차공학과 - 일본공학원홋카이도전문학교(홋카이도/노보리베츠시)  |
최신의 시설과 설비를 갖추어, 자동차의 하이테크화에 대응하기 위한 컴퓨터제어나 전자와 전기 등의 폭 넓은 지식을 가진 메카니스 스텝을 육성한다. |
2급자동차정비 - 아카몽자동차정비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판금과 도장엔지니어, 4륜 자동차엔지니어, 모터 Racing 엔지니어, 2륜 자동차 엔지니어, 자동차 전자엔지니어의 5가지 코스가 있다. |
2급2륜 자동차정비사 - 아카몽자동차정비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고도한 2륜 전문교육을 하고, 2급 2륜 자동차 정비사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한다. 1년 차에서는 2사이클 엔진의 탈착과 분해와 조립 등으로 2륜차의 기초를 학습한다. 2년 차에서는 엔진 시동기구, 써서펜션의 분해 등을 배운다. |
자동차정비과 - 카단자동차정비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기초에서부터 응용으로의 스텝을 밟아 가면서 자동차 정비의 이론과 기술을 병행하여 배울 수 있다. 자동차, 2륜 자동차(Bike), 판금, 도장 등을 폭 넓게 배움과 동시에 선택실습의 하이테크 세미나도 개강한다. |
차체정비전공과 - 카단자동차정비전문학교(미야기현/센다이시)  |
안전성과 승차감, 경량성, 스타일 등 개성이 중요시되는 차체 구조를 전문적으로 배우면서 본격적인 판금, 도장 기술이나 개조 기술, 복원 처리기술을 익힌다. |
자동차정비학과 - 미토자동차정비전문학교(이바라기현/미토시)  |
신형모델의 실습 자동차로 차의 구조나 수리방법을 배운다. 수업은 실습을 중심으로 한 내용으로 2급 자동차 정비사 시험의 합격을 목표로 한다. |
차체정비학과 - 미토자동차정비전문학교(이바라기현/미토시)  |
차체 정비사시험의 합격을 목표로 한다. |
자동차정비사학 - 국제자동차뷰티전문학교(도치기현/오다와라시)  |
최신의 실습설비와 소수정원제의 꼼꼼한 지도에 의해 기본적인 기술과 지식을 익히고, 하이테크화가 진행되는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
오토모빌학과 - 국제테크니컬디자인자동차전문학교(도치기현/오야마시)  |
모든 차종에 대응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기능 기초에서부터 최신기술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확실하게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2급 자동차 정비사 국가시험합격률 100%를 전개하고 있다. |
자동차정비과 - 닛산자동차정비전문학교(도치기현/가미노가와시)  |
닛산 자동차의 직영학교라고 하는 장점을 최대한으로 살린 최신예의 설비와 기재, 닛산 자동차의 연구와 개발부문에서 익힌 풍부한 경험의 강사진에 의하여 하이테크한 수업을 전개하고 있다. |
자동차정비과 - 전문학교군마자동차대학교(군마현/아카보리마치)  |
최신의 특정메이커에 치우치지 않고 풍부한 교재의 자동차를 갖추었다. 관동과 信越 등, 현 이외의 출신자가 많은 것도 특징의 하나이다. 2003년도부터 1급의 자동차 정비사 코스를 신설예정이다. |
자동차정비과 - 전문학교관동공업자동차대학교(사이타마현/고우노스시)  |
총 학습의 60%가 실습시간이다. 실습차도 10메이커, 17차종과 다채롭다. 넓은 실습실에서 전문기술을 여유있게 배울 수 있다. 실제의 주행을 체험하기 위한 테스트 코스도 설치하고 있다. |
자동차정비과 - 전문학교사이타마자동차대학교(사이타마현/이나시)  |
졸업과 동시에 2급자동차 정비사의 수험자격을 얻을 수 있다(실기 시험면제) |
차체정비과 - 전문학교사이타마자동차대학교(사이타마현/이나시)  |
차체 정비의 기술을 습득함과 동시에 사고차의 차체수정 등도 배운다. |
자동차정비과 - 혼다인터네셔널테크니컬스쿨(사이타마현/오이마치)  |
1년차에서는 분해와 구조를 통하여 기초원리와 기술, 2년차에서는 졸업 후, 바로 도움이 되는 특수 기구와 최신의 카 일렉트로닉스 등의 폭 넓은 기술을 습득한다. 2급 자동차 정비사의 자격취득을 목표로 한다. |
자동차정비과 - 전문학교치바현자동차대학교(치바현/치바시)  |
실전능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동차 엔지니어를 육성한다. 2급 정비사의 자격취득을 위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정비공장과 같은 차체정비를 하고, 치바 육운지국 검사 라인에서 자동차 검사를 받는 체험도 한다. |
2급자동차정비과·1급자동차정비과 - 전문학교치바현자동차종합대학교(치바현/소데가우라시시)  |
실전능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동차 엔지니어를 육성한다. 자격취득을 위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소데가우라 자동자 검사등록 사무소에서 자동차 검사를 받는 체험도 한다. |
자동차연구과 - 전문학교니혼오토모빌칼리지(치바현/다이에이마치)  |
1급 자동차정비사 코스, 3D-CAD 코스, 국제엔지니어 코스, 기업경영코스가 있다. 최초의 2년간으로 2급 자동차 정비사를 취득하고, 나머지 2년간은 자신의 최종 목표에 맞추어 전공 코스를 선택한다. |
카스다마이즈과 - 전문학교니혼오토모빌칼리지(치바현/다이에이마치)  |
처음 2년간으로 2급 자동차정비사를 취득하고, 남은 1년간은 독창적인 자동차의 제작을 한다. |
자동차정비과 - 전문학교니혼오토모빌칼리지(치바현/다이에이마치)  |
국내외의 다양한 메이커의 자동차를 사용하여, 2륜차에서 대형자동차까지 폭 넓게 배울 수있다. |
고등과 - 도큐자동차정비전문학교(도쿄도/세타가야구)  |
소수 정원제의 기초교육의 철저로 졸업 시에는 정비사자격의 취득을 실현한다. 독자적으로 연구 개발한 카 일렉트로닉스의 교육 방법으로 최첨단의 기술도 확실하게 마스터시킨다. |
자동차정비과 - 도쿄공과전문학교나가노교(도쿄도/나가노구)  |
정비의 지식과 기술에다가 컴퓨터 제어기술의 습득도 가능하다. |
엔지니어관리과 - 도쿄공과전문학교나가노교(도쿄도/나가노구)  |
자동차·이륜, 레이스·메카니스에서부터 마린 엔진까지 대응한다. |
자동차정비과 - 도쿄공과전문학교시나가와교(도쿄도/시나가와구)  |
자동차의 하이테크화에 대응하여 수준높은 정비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Racing 머신도 교재로 도입한다. 또, 컴퓨터 교육도 커리큘럼으로 채택하여 정보처리 능력도 익힌다. |
자동차과 - 도쿄공과전문학교세타가야교(도쿄도/세타가야구)  |
정비사 자격취득과 동시에 메이커의 엔지니어로서 연구 개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
자동차정비과 - 도쿄공과전문학교세타가야교(도쿄도/세타가야구)  |
2급 정비사 자격을 목표로 메이커의 종류를 불문하고 정비할 수 있는 실전능력을 습득한다. |
자동차정비 2급과 - 도쿄공과전문학교세타가야교(도쿄도/세타가야구)  |
딜러 정비사에서부터 Racing 메카니스나 메이커의 서비스 엔지니어까지 폭 넓게 양성한다. 그 외에 자동차 연구과도 있다. |
자동차정비과 - 도쿄공업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1년차에 자동차의 구조와 기능 등의 기초를 배우고, 2년차에 기초에서부터 실전, 응용으로의 스텝 Up을 해 간다. 전용의 실습설비를 완비하여 실습중심의 커리큘럼을 편성하고 있다. |
자동차정비과 - 전문학교도쿄자동차대학교(도쿄도/가스시카구)  |
지식, 기술, 사람을 교육의 중점에 두고, 자동차 정비사국가 시험의 전원 합격을 목표로 맨투맨 방식에 의한 교육을 하고 있다. 産能단기대학의 합병수업 코스도 설치하고 있다. |
자동차정비과 - 도쿄공학원하치오지전문학교(도쿄도/하치오지시)  |
자동차 정비기술에다가 컴퓨터 실습, 디지털회로, 전자와 전기 기술실습이 충실하다. 진화하는 자동차의 인텔리전트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정비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커리큘럼 편성이다. |
전문과·2급자동차정비사코스 - 일본자동차정비전문학교(도쿄도/히치오지시)  |
1년차에서 기본이 되는 5과목의 학과와 실습을 되풀이하여 배우고 2년차에는 더욱 수준을 높인다. 필수 외에 선택과목도 준비되어, 인간성을 익히는 것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
자동차공학과 - 요미우리고토이공전문학교(도쿄도/고토구)  |
졸업생 전원이 2급 정비사 시험합격이 목표이다. 실습에 중점을 둔 커리큘럼으로 자동차의 각 메이커의 최신형 자동차의 메카니즘을 학습할 수 있다. 2륜차의 장비교육에도 주력하고 있다. |
자동차정비과 - 전문학교닛산요코하마자동차대학교(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  |
2급 자동차 정비사 자격과 같은 닛산의「서비스기술 습득제도」로 졸업시의 3급 합격을 목표로 한다. 단계적으로 효율적으로 편성된 커리큘럼으로 정비의 프로로서의 실력을 익힌다. |
자동차정비학과 - 동해공과전문학교(후쿠오카현/하마마츠시)  |
「프로를 목표로 하면 일류를 지향하라」를 교육이념으로 업계가 요구하는 지식과 기술을 육성한다. 4륜, 2륜 대기업의 메이커를 많은 지역에서, 자동차 정비뿐 만 아니라 2륜차 정비와 마린 정비에도 대응한다. |
자동차과 - 전문학교아소공과자동차대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모든 차종에 대응할 수 있는 2급 정비사를 양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
자동차전자과 - 전문학교아소공과자동차대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발전을 계속하는 카 일렉트로닉스에 정통한 2급 정비사를 양성한다. |
자동차공학과 - 전문학교아소공과자동차대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기본 커리큘럼은 2급 정비사 양성 과정과는 거의 같고, 졸업 후는 본교 연구과(자동차 시스템 공학과(2년), 포티 디자인 연구과(1년)에 진학하여, 1급 정비사나 자동차정비뿐 만이 아니라 2륜차 정비, 마린 정비도 대응한다. |
자동차정비과 - 전문학교토요타나고야자동차대학교(아이치현/니시가스가이시)  |
전국에서도 최대규모인 약 300대를 보유하고 있고, 학생 두 사람에 1대의 실습차를 준비하고 있다. 전문과목의 3분의 2가 실습과목이고, Hybrid 시스템, 전기자동차, ABS 등, 최신의 테크놀로지도 수업에서 채택하고 있다. |
자동차연구과 - 전문학교토요타나고야자동차대학교(아이치현/니시가스가이시)  |
2002년 4월에 개설한 신설학과이다. 일본에서 처음으로 1급 자동차 정비사의 양성코스로서 2급 정비사(취득예정자 포함)가 대상이다. 정비업계를 리드할 인재를 육성한다. |
자동차정비과 - 닛산아이치자동차공업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학과보다 실습 중심의 커리큘럼으로 실전능력의 파워 Up을 도모한다. 국토교통성의 인정을 받는 1800시간을 크게 상회하는 수업시간으로 확실하게 정비기술을 마스터한다. |
자동차정비과 - 메이테츠자동차전문학교(아이치현/단바군)  |
이륜에서 경·보통 자동차, 대형 트럭까지 다양한 차량을 교재로 하여 사용하고 올 마이티한 정비사의 수험이나 육성을 목표로 한다. 2급 이륜 자동차 정비사 및 차체정비의 교육도 행한다. |
자동차정비공학과 - 교토자동차전문학교(교토부/교토시)  |
소수 정원제의 반편성이고 실습지도로 꼼꼼하게 배울 수 있다. 매년 3회의 교외 실습이 있고, 업계의 현장을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시야를 넓히는 해외연수도 실시한다. 여학생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
자동차정비과 - 전문학교닛산교토자동차대학교(교토부/구세군)  |
자동차의 기본요소에서부터 전자제어엔진 등의 최신기술까지를 배우고, 2급 정비사에 도전한다. |
자동차차체정비과 - 전문학교닛산교토자동차대학교(교토부/구세군)  |
1년차에 3급정비사에 도전한다. 2년차에 판금, 도장을 배우고, 차체정비사에 도전한다. |
모터스포츠자동차공학과 - 일본모터스포츠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Racing 드라이버로서 고도한 주행 테크닉과 세팅의 기술을 배우고 Racing 어탭 코스와 메카니스를 양성하는 Racing 메카니스 코스가 있다. |
카스타마이즈자동차공학과 - 일본모터스포츠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합법적으로 자동차를 개조하는 기술을 배우고, 튜닝 코스와 낡고 오래되어 손상된 자동차를 습득하고 복원하는 기술을 배우는 레스트아 코스가 있다. |
모터싸이클학과 - 일본모터스포츠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Racing 코스와 자동차 정비 코스가 있다. |
자동차정비과 - 혼다간사이자동차정비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사야바시)  |
실습주체의 커리큘럼으로 2급 자동차정비사의 자격을 가진 서비스 엔지니어를 목표로 한다. |
자동차비즈니스과 - 혼다간사이자동차정비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사야바시)  |
정비의 기술과 영업직의 지식을 병행하여 가진 세일즈 엔지니어를 육성한다. |
자동차정비과 - 전문학교도요타고베자동차대학교(효고현/고베시)  |
자동차의 구조나 메카니스를 폭 넓게 배우고 1년차의 기초 단계에서부터 차량을 사용한 본격적인 정비실습의 시작이다. 졸업과 동시에 도요다 서비스 기술 검정 3급의 자격이 주어진다. |
자동차정비공학과 - 한신자동차항공철도전문학교(효고현/오자키시)  |
2급 가솔린과 디젤자동차정비사의 자격을 목표로 한다. 2급 이륜 자동차 정비사의 자격도 취득 가능하다. |
자동차공학과 - 한신자동차항공철도전문학교(효고현/오자키시)  |
자동차 정비의 엔지니어를 목표로 도장이나 판금을 배운다. |
자동차정비학과 - 아나부키컴퓨터정비전문학교(가가와현/다가마츠시)  |
2002년 4월에 개설하였다. 최신의 실습 기기와 설비에 의하여 자동차정비의 프로를 양성하기 위하여 기초를 확실하게 익히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합격까지 확실하게 마스터해 간다. |
자동차정비과 - 전문학교키타큐슈자동차대학교(후쿠오카현/기타규슈시)  |
자주독립의 정신이 모토이다. 특정의 메이커에 소속하지 않고 신뢰받는 정비사를 목표로 하고, 인격교육과 기술의 학습에 주력하고 있다. 여성의 입학도 많고 이륜 정비사의 육성도 개시하였다. |
자동차정비학과 - 제일자동차정비전문학교(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
2급 자동차정비사 국가시험의 전원 합격을 목표로 한다. 부득이하게 과목을 극복하기 위해 보충 수업이나 특별강사에 의한 원 포인트 수험대책 강의 등, 빽 업 체제가 마련되어 있다. |
자동차학과 - 사가공업전문학교(사가현/사가시)  |
실습중심의 수업으로 하이테크화 된 자동차 기술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차정비사를 양성한다. 중고차의 사정사, 손해보험 대리점 취급자격, 가스용접 기능 강습 등 수 많은 자격 취득을 목표로 한다. |
항공정비사 |
▲ TOP |
항공기정비과 - 동일본항공전문학교(미야기현/이와누마시)  |
고성능화와 복잡화한 항공기정비에 필요한 고도의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목표로, 비행기에서부터 헬리콥터까지 다양한 실습 비행기를 사용하고, 실전적으로 학습한다. 컴퓨터의 기초도 학습한다. |
항공정비과 - 국제항공전문학교(사이다마현/도고로자와시)  |
1년차에는 항공기술자로서의 기초를 배우고, 2년차에는 항공정비과(비행기)와 운항정비과(비행기)로 나뉜다. |
항공정비과 - 국제항공전문학교(사이다마현/도고로자와시)  |
2년차에 항공정비과(헬리콥터)와 항공기술과로 나뉜다. |
에어로지원과 - 국제항공전문학교(사이다마현/도고로자와시)  |
항공기정비 외에 지상 서비스나 각 시스템의 취급에 대해서 폭 넓게 학습한다. 항공기의 안전 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업무의 스페셜 리스트를 육성한다. |
항공정비과 - 도쿄항공공업전문학교(미야기현/스기나미구)  |
재학 중에 약 15종류의 국가(기능)자격을 취득 가능한 커리큘럼을 편성하고 있다. 2급 항공운항 정비사 외에 특수무선기사, 위험물 취급자, Arc 가스용접 등의 자격취득도 목표로 하고 있다. |
항공공학과 - (전)일본항공대학교(이시가와현/와지마시)  |
각종재료의 특성, 정비성과 안전성, 제어기술, 정보시스템을 습득한다. |
항공기제조과 - (전)일본항공대학교(이시가와현/와지마시)  |
항공공학과 항공기 정비기술의 지식을 습득한다. 2003년 4월에 야마나시현 葉町에서 이전했다. |
항공정비과 - 중일본항공전문학교(기후현/세키시)  |
비행기·헬리콥터의 2등 항공정비사, 2등 항공운항사의 국가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헬리콥터의 2등 항공정비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것은 전국에서 본교뿐이다. |
항공전자제어과 - 중일본항공전문학교(기후현/세키시)  |
전자제어의 기본이 되는 컴퓨터 기술을 배우고, 전자장비품의 제작과 수리 등의 기술자를 양성한다. |
항공생산과 - 중일본항공전문학교(기후현/세키시)  |
항공기나 관련기기의 설계, 제조, 검사 등의 기술자를 양성한다. |
에어포터서비스과 - 중일본항공전문학교(기후현/세키시)  |
지상지원, 항공화물의 취급, 통관업무의 스페셜 리스트를 양성한다. |
항공공학과 - 미야기유니버셜칼리지(미야기현/미야기시) |
다수의 비행기·회전날개 항공기를 비롯하여 레시프로나 엔진 등 각종의 풍부한 실습교재와 계측기의 종류를 갖추고 있다. 오랜 실무경험을 가진 강사진이 지도를 맡아 고도의 기술을 가진 항공정비사를 양성한다. |
자가항공조종사 |
▲ TOP |
항공정비과·에어로지원과, 조종과 - 국제항공전문학교(사이다마현/도고로자와시)  |
항공공학, 조종법, 기상, 무선 등의 습득을 중심으로 일반교양에도 주력하고, 균형있는 항공인을 양성한다. |
용접, 비파괴검사기술자, 철강기술자 |
▲ TOP |
용접·검사기술과 - 일본용접구조전문학교(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  |
용접과 비파괴검사가 중심이다. |
강구조공학과 - 일본용접구조전문학교(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  |
강구조 생산기술자를 양성한다. |
구조공학과 - 용접과 비파괴 등을 배운다.  |
기초에다가 공조, 급배수, 전기 등을 배운다. |
철골정보공학과 - 일본용접구조전문학교(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  |
철골 CAD/CAM을 배운다. |
공해, 환경관리기술자 |
▲ TOP |
환경공학과 - 삿포로과학기술전문학교(홋카이도/삿포로시)  |
야외로 나와서 동식물이나 물의 조사와 분석을 하는 실습이 중심이다. 또, 생물학, 화학, 지학 등 모든 분야에서 환경에 관련한 지식이나 기술을 익힌다. 최일선에서 활약중인 우수한 강사진에 의한 지도를 한다. |
자연환경보전학과 - 도쿄환경공과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환경을 둘러싼 과제에 대응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습득하고 자연환경의 보전과 복원이나 관리 능력을 익힌다. |
야생생물조사학과 - 도쿄환경공과전문학교(도쿄도/시부야구)  |
야생 생물의 분포나 생태 등을 조사와 분석을 하는 환경 기술자를 육성한다. |
환경테크놀로지과 - 전문학교도쿄테크니컬칼리지(도쿄도/구니다치시)  |
물, 대기, 소음 등의 환경변화를 법령에 정해져 있는 방법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하고 분석하는 기술자를 육성한다. 처리 실험을 근거로 하여 환경장치의 설계와 제도도 배우고, 국가시험에 도전한다. |
자연환경학과 - 도쿄디지털테크니컬전문학교(도쿄도/다이도구)  |
무기와 유기화학, 물리학, 대기와 수질, 소음, 진동환경공학, 방사선공학 등의 기초 과목에다가 실험과 연습, 졸업연구 등도 한다. 공해방지관리자나 독극물 취급책임자 등을 목표로 한다. |
환경과학과 - 일본공학원전문학교(도쿄도/오타구)  |
보다 고도한 라이센스의 취득을 최종적인 목표로 하여 오염의 연구에서부터, 오염의 조사와 분석, 그리고 그 처리의 관리와 방지까지를 학습한다. 풍부한 실험과 실습을 통하여 실전적으로 배워간다. |
자연환경보전과 - 일본자연환경전문학교(니이가다현/니이가다시)  |
자연환경의 보전과 복원사업에 종사하고, 환경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인재의 육성을 목적으로 한다. 실습장에서 비오도프를 작성하기도 하고 환경 NPO, NGO로 실제로 활동하는 체험을 한다. |
환경교육과 - 일본자연환경전문학교(니이가다현/니이가다시)  |
전국에서도 숫자적으로 적고, 니이가다 현내에서는 유일한 학과이다. 실제로 소학교 등에서 지도한다. 비오도프 작성 등을 하고, 청소년의 자연 체험활동을 지원하거나 지도하는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한다. |
환경정보시스템과 - 도키하환경정보전문학교(후쿠오카현/하마마츠시)  |
이 학과에서 공부하는 내용은 자연환경의 복원류, 환경제어류, 환경체험류의 3종류로 나뉘어 있다. 가든 코디네이터나 그린 코디네이터, 환경계량사 등을 목표로 한다. |
아쿠아 사이언스학과 水 의 환경코스 - 오사카동식물해양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과학적으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한다. 하천의 수질 분석이나 정화 등 현장에서의 실습을 중시한다, 사람과 자연의 이상적인 균형유지를 위한 지식과 기술을 배운다. |
정보시스템과·환경정보코스 - 일본이공정보전문학교(오사카부/오사카시)  |
컴퓨터의 기초지식을 베이스로 각 방면의 실험을 적극적으로 채택하여 환경 테크놀로지의 분야에서 분석이나 처리를 정확하게 실천할 수 있는 기술자를 양성한다. |
환경테크놀로지학과 - 국제환경전문학교(효고현/오자키시)  |
환경오염의 측정이나 분석을 배우는 환경화학 코스와 동식물의 생태계 조사를 배우는 환경생태 코스가 있다. |
환경시스템학과 - 국제환경전문학교(효고현/오자키시)  |
환경공학 코스와 환경바이오 코스가 있다. |
환경생태과 - 규슈의료전문학교(사가현/도스시)  |
동식물에 대하여「생태와 보호」에 중점을 두고 학습한다. 관찰이나 실습을 통하여 체험적으로 배운다. |
환경공학과 - 규슈의료전문학교(사가현/도스시)  |
생활환경의 악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실험이나 야외 실습이 중심이 된다. |
안경기술자 |
▲ TOP |
안경학과 - 도쿄오브더메트릭칼리지(도쿄도/신쥬쿠구)  |
안경점이나 안과 등에서 시력검사, 판매, 가공을 하는 비젼 스페셜 리스트를 양성한다. 소수 정원제와 실기중시의 커리큘럼에 의하여 실전적인 기술자 육성을 목표로 한다. |
안경광학과 - 기쿠치안경전문학교(아이치현/나고야시)  |
시력과 시력 기능을 보호 육성하는 전문기술자와 옵토메트 리스트를 양성한다, 전문분야뿐 만이 아니라 풍부한 인간성을 겸비하기 위해서 일반 교양의 수업에도 주력하고 있다. |
안경기술기초학과 - 일본안경기술전문학교(오사카부/후키타시)  |
일반 교양을 비롯하여 의학, 광학, 안경 기술 전반을 폭 넓게 학습하고, 3년차에는 병원 연수나 안경점 실습이 있다. 수료하면, 안경사 등록증이 교부된다. |
쥬얼리디자이너 |
▲ TOP |
보석학과, 보석귀금속 가공과, 보석장식디자인학과 - 야마나시현립보석미술전문학교(야마나시현/고후시)  |
보석과 귀금속에 관한 기초지식을 배우고 보석감별 능력이나 보석장식품으로서의 가공 기술 등 기본에서부터 응용까지의 디자인 기술을 습득한다. |
|
|
|